(한국경제) 늘어나는 경기 반등 신호…"반도체 등 제조업 회복세"
1단계 : 핵심내용 구조화
-
WHAT : 기사에서 다루는 주제를 객관적인 사실 위주로 간략하게 작성하기.👉 한국개발연구원(KDI)가 경제 부진이 점점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함.
-
WHY: 이러한 일이 일어난 배경 및 이유 정리하기.👉 반도체 업황 부진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 한국의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 경제가 예상 밖으로 강세를 띄고 있음
-
HOW: 객관적인 사실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나 전망, 주장, 의견, 상세 내용을 핵심 내용 위주로 정리하기.<근거>👉 반도체 턴어라운드 신호- 반도체 수출물량지수 / 5월 8.1%로 반등, 6월 21.6%로 급등- 반도체 생산 / 5월 -18.7% → 6월 -15.9% 감소폭 감소- 반도체 출하 / 5월 20.5% → 6월 15.6%로 증가- 제조업 재고율 / 5월 112.7% → 6월 111.4%로 감소👉 전산업 생산지수- 4월(-1.3%) 감소세 전환 → 5월(1.3%) / 6월(0.1%) 증가👉 제조업 생산- 1분기 대비 2분기 3.4% 증가, 5분기 만에 증가세 전환👉 소매판매액지수- 4월(-2.6%) 감소세 전환 → 5월(0.4%) / 6월(1.0%) 증가👉 설비투자- 4월(0.9%), 5월(3.5%), 6월(0.2%) 연속 증가👉 무역수지- 5월까지 15개월 연속 적자 행진 → 6월 /7월 흑자 전환👉 국내 소비자물가 6, 7월 연속 2%대로 낮아짐<전망>👉 물가 안정 시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 완화 → 경기 반등의 플러스 요인으로 해석👉 하반기 중 경제 회복, But 소비와 투자 등 내수 회복은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 (한국은행)👉 중국 도시 청년 실업률이 코로나 19전보다 두배 가량 급증하는 등 올해 성장률 5%내외로 그칠 전망<견해>👉 한국 가계부채는 GDP 대비 102.2%로 세계 3위 수준 상태, 민간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이에 따라 한국 경제 23~25년 연평균 성장률이 0.8%에 그칠 수 있음👉 경기 상태에 대한 해석에 모나리자 효과로 방해 될 수 있음
2단계 : 모르는 용어 정리
-
모나리자 효과- 경기의 방향이 좋은 쪽인지 나쁜 쪽인지 가늠하기 어려울 때 사용되는 시사 용어
3단계 : 질문 1개
-
내부 질문 방향: 해당 이슈가 나에게 어떤 영향을, 내가 속한 업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경기가 살아난다면 나에게 좋은 것이 뭐가 있을까?
-
외부 질문 방향: 해당 이슈가 다른 산업에는, 다른 나라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경기가 좋아질 때 영향을 받는 관련주는 무엇이 있을까?👉 각종 생산 지수들은 어떤 사이트에서 얻어오는 Data 일까?
4단계 : 투자에 적용할 점 1개
-
수해 기업 및 산업은 어디일까?👉 반도체 관련 주식, ETF 찾아보기
1. SK하이닉스
2. 주성엔지니어링
3. 한미반도체
'# 우리의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신스 챌린지] 4일차! (0) | 2023.08.11 |
---|---|
[경신스 챌린지] 3일차! (0) | 2023.08.09 |
[경신스 챌린지] 1일차! (0) | 2023.08.07 |
매일경제 신문 구독 시작! 100일 챌린지 도전! (집 앞 배송 확인必) (0) | 2023.07.31 |
특례보금자리론 금리인하, 기회인가?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