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적금을 이용한 예금화 방법 알아보기
미국 중앙은행에서 11월 3일 기준금리를 발표한지 3주가 되었다.
현재 미국의 기준 금리는 4.00%
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은 11월 24일 이제 이틀이 남았다.
한국 중앙은행 기준금리가 3%인 현재 고금리 상품이 속속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이번엔 얼마나 금리인상을 진행할까?
많은 전문가들이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美 연준에서 "기준 금리 고점 상단이
4.75% ~ 5.00%가 타당할 것 같다는 의견을 냈다.
올해를 지나 내년엔 얼만큼의 변화가 있을지 조금은 두렵다.
빠른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것 같긴 하지만
또 다른 변화에 대응 하기 위해 고민을 했다.
현재, 자유적금의 금리도 많이 높아진 상황이다.
(나는 주로 농협 상품을 많이 이용한다.)
기간은 6개월, 12개월, 24개월, 36개월 별로 검색 가능하다.
나는 어쩌다 나오는 5년형 상품도 가입하고 있다.
농협 자유적금의 경우 가입 기간 2/3 경과 후에는
이전 적립 누계액의 1/2 이내만 적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년형(60개월) 가입 시
40개월 동안 적립한 금액이 1억원이라면
20개월 동안은 5천만원 이내로 적립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자유적금은 가입금액과 납입 횟수 제한이 없기 때문에
향후 낮아질 예금 금리를 방어하기 위해
가입해두는 것이다.
최근 가입을 마무리 했던
무정농협의 자유적립 적금이다.
금리는 6.1%로 가입 기간은 12개월로 적혀 있지만
안보이는 곳에 보석이 있다.
금리안내 속에 숨어있던
우대금리라는 보석이다.
12개월 이상 36개월 미만의 경우
6%의 기본금리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35개월로 설정한다면 6%로 가져갈 수 있다는 뜻이다.
(가입 금액은 천원이다.)
별것 아닌것 같아도
향후 금리 인하가 아쉬울지도 모를 내 자신을 위해
천원정도의 보험을 들어놓는 것도 나쁘지 않다.
자유적금을 이용해 선납이연 적금을 맞추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기에
안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 적금 추천] 조건 없는 농협 적금 (금리 8% / 12~23개월) (0) | 2022.11.28 |
---|---|
[고금리 적금 추천] 농소농협 7.3% 정기적금 (0) | 2022.11.23 |
[고금리 적금 추천] 청십자신협 12개월 7.5% 정기적금 추천 (0) | 2022.11.18 |
[고금리 예금 추천] 웰컴저축은행 5.5% 정기예금 (0) | 2022.11.16 |
[재테크] 2022년 10월 대한항공 마일리지 결산 (0) | 2022.11.08 |